과학적으로 증명된 크릴 오일 효능 5가지 알아보자

요즘 크릴 오일 열풍인 것 같습니다. 어제 TV 채널을 돌리면서 크릴 오일 효능에 대해 알아보는 프로그램이 2개나 있었고 그 시각 홈쇼핑 채널에서는 크릴 오일을 팔고 있었습니다. 크릴이 무엇인지 크릴 오일에 대해 생소하신 분들을 위해 크릴에 대해서 잠시 알아보겠습니다. 

 

 

크릴은 새우를 닮은 갑각류입니다. 외형이 작은새우와 흡사하지만, 분류학상으로는 난바다 곤쟁이 목에 속하는 갑각류로 플랑크톤의 일종입니다. 크릴은 전 세계에 걸쳐 약 85종류가 살고 있으며 이 중 우리나라에는 약 11종류가 발견되는데 주로 남극 대륙을 둘러싼 얼음 바다를 좋아해 남빙양이 주 서식지라고 합니다. 크릴은 남극 생태계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존재입니다. 남극에 서식하는 동물 중 크릴을 먹지 않는 동물이 없기 때문입니다. 크릴을 식품으로 가공하기 쉽지 않아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낚시 미끼로 사용합니다. 이와 달리 미국, 캐나다, 노르웨이 등 크릴의 자원화에 관심이 있는 나라에서는 미래 식량자원으로 크릴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오메가3 생선 기름(어유)의 대안으로 크릴 오일 영양제를 개발해 부가가치를 높이고 있습니다. 영양가가 높은 크릴 오일의 효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하고 흡수가 빠릅니다.

 

크릴오일은 생선 오일과 마찬가지로 두 가지 중요한 오메가3 지방산 DHA와 EPA이 들어있습니다. EPA와 EPA는 혈관의 건강을 해칠 수 있는 트리글리세이드와 염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데 크릴 오일은 인지질을 함유하고 있어서 생선 기름보다 몸에 쉽게 흡수됩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크릴 오일을 표준 일일 복용량으로 매일 복용하면 동일한 복용량의 일반 생선 오일보다 총 콜레스테롤과 트리글리세이드가 효과적으로 감소한다고 밝혔습니다. 

 

2. 염증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크릴 오일에 함유된 오메가3 지방산은 신체에서 중요한 항염 기능을 합니다. 실제로 크릴 오일은 생선 오일과 같은 다른 오메가3보다 염증을 완화하는 데 훨씬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크릴 오일에는 항염 및 항산화 효과가 있는 아스타잔틴이라는 오렌지 색소가 들어있기 때문입니다. 크릴 오일이 염증 완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기 위해 몇 가지 연구를 하였는데 한 연구에 따르면 매일 1,000mg의 크릴 오일 보충제를 복용한 그룹이 정제된 오메가3을 매일 2,000mg 복용하는 그룹보다 훨씬 효과적으로 염증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했다고 합니다. 또한 만성 염증이 있는 90명을 대상으로 매일 300mg의 크릴 오일을 복용하게 하였는데 한 달 후에 최대 30%까지 염증을 줄일 수 있었다고 합니다. 따라서 크릴 오일은 염증과 싸우는 오메가3 지방과 아스타잔틴이라는 항산화 성분이 풍부해 염증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3. 관절염과 통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크릴오일은 염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므로 관절염 증상과 그에 따른 통증도 개선할 수 있습니다.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크릴 오일이 염증 수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고 크릴 오일은 류마티스성 또는 관절염 환자의 기능장애 및 통증을 감소시킨다고 하였습니다. 가벼운 무릎 통증이 있는 50명의 성인에게 크릴 오일을 30일 동안 복용하게 한 결과 활동하는 시간과 수면시간의 통증이 많이 감소하였고 관절의 활동 범위가 증가하였다고 합니다. 또한, 관절염이 있는 쥐에게 크릴오일의 효과를 실험하였는데 쥐가 크릴 오일을 섭취했을 때 관절염이 완화되었고 부종이 줄어들었으며 염증 세포가 줄어들었다고 합니다. 따라서 크릴 오일은 관절염 및 관절 통증을 줄이는 보충제로 증상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4. 콜레스테롤을 낮춰 심혈관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콜레스테롤은 저밀도 지단백질(LDL), 고밀도 지단백질(HDL) 그리고 트리글리세이드로 나뉩니다. 저밀도 지단백질인 LDL은 몸에 나쁜 콜레스테롤이고 고밀도 지단백질인 HDL은 우리 몸에 좋은 콜레스테롤입니다. 그리고 콜레스테롤과 같은 트리글리세리드는 혈액을 순환하는 지방의 한 종류입니다. 콜레스테롤과 같이 높은 수준의 트리글리세리드는 심장병 발병의 위험 요소입니다. 한 연구는 크릴 오일과 정제된 오메가3가 콜레스테롤과 트리글리세리드 수치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 하였습니다. 연구결과 크릴 오일은 좋은 콜레스테롤인 고밀도 지단백질(HDL)을 높였고 복용량이 훨씬 적더라도 염증을 줄이는 데 더 효과적이었다고 합니다. 반면 정제된 오메가3는 트리글리세리드 수치를 낮추는 데 더 효과적이었다고 합니다. 따라서 크릴 오일은 나쁜 콜레스테롤(LDL)과 트리글리세리드를 낮추는 데 효과적이며 좋은 콜레스테롤(HDL)은 높여서 심장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5. 월경전증후군(PMS)에 도움이 됩니다.

 

일반적으로 오메가 지방을 섭취하면 통증과 염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고 알려졌습니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오메가3 또는 생선 오일를 복용하면 월경전증후군(PMS)과 통증을 줄여 진통제 복용을 줄이는 것을 줄여준다고 합니다. 크릴 오일은 오메가3가 풍부하여 월경전증후군에도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한 연구는 월경전증후군(PMS) 증상이 심한 그룹에 크릴 오일과 생선 오일의 효과를 비교하였습니다. 연구결과 두 보충제 모두 통계적으로 증상이 개선되었지만, 크릴 오일을 복용하는 그룹이 생선 오일을 복용하는 여성보다 진통제 복용량이 훨씬 적었습니다. 따라서 오메가3이 풍부한 크릴 오일은 월경전증후군(PMS)과 통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크릴 오일 캡슐은 일반적으로 어유 캡슐보다 크기가 작고 생선 오일 복용 후 생길 수 있는 메스꺼움과 트림, 비린내 나는 뒷맛이 나지 않아 복용하기 쉽습니다. 크릴은 풍부하고 빠르게 재생산되기 때문에 생선 기름보다 지속 가능한 자원입니다. 크릴 오일 생산이 어유 생산 방법보다는 괜찮은 것으로 보이지만 많은 사람이 복용함으로써 앞으로 생산 방식이 어떻게 달라질지는 모릅니다. 지구온난화로 인해 남극 빙하가 빠른 속도로 녹고 있어서 남극 빙하에 사는 크릴이 줄어들 가능성도 있습니다. 생선이나 갑각류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크릴 오일을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식이 요법이나 보충제로 하루에 5,000mg 이상의 EPA와 DHA를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으니 권장량을 따라 주의해서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금까지 크릴 오일의 효능을 알아봤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cent posts